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우아한 테크 코스
- resilience4j
- 살아남았다.
- 동시성문제
- tomcat
- HikariCP
- Kotlin
- 오어스
- Transactio
- spirng
- AOP
- Spring Batch
- Gateway
- 최종 합격
- MDC
- 우테코
- 우테코 5기
- 테스트코드
- circuitbreaker
- Elk
- Spring cloud gateway
- redis
- 톰캣
- JWT
- 커넥션 풀
- 우아한테크코스
- oauth
- 트랜잭션
- DispatcherServlet
- Thread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데이터 (1)
코딩은 내일부터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8oNe/btsFhT9oGrZ/ImZZEgWOJK42gPB99L2rs1/img.png)
서버와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 사이에서 데이터가 이동할 때 인터넷을 통해서 데이터가 이동한다. 이번에는 위와같은 그림에서 더 자세하게 들어가 어떻게 데이터가 이동하는지 알아보겠다. 그러면 클라이언트에서 server로 데이터를 보내는 상황에서 설명해 보겠다. 1) 사용자 데이터 보내기 클라이언트에서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는 메모리에서 해당 데이터는 소켓을 통해 데이터를 TCP/IP 쪽으로 넘긴다. 그림과 같이 Buffer에 넘어온 데이터를 저장하고 IP와 Port를 그리고 순서 등등 의 데이터를 담고 있는 Segment라는 단위로 청크 된다. Segment를 배송할 물건이라고 한다면 계층을 거치면서 Segment는 Packet이라는 택배상자에 감싸지고 Frame이라는 운동차량으로 감싸지게 된다. 그러면 이 운..
카테고리 없음
2024. 2. 28. 14: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