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circuitbreaker
- AOP
- redis
- 우아한 테크 코스
- 커넥션 풀
- 우아한테크코스
- DispatcherServlet
- Kotlin
- Gateway
- 우테코 5기
- tomcat
- MDC
- 테스트코드
- spirng
- Spring cloud gateway
- HikariCP
- 최종 합격
- Elk
- Spring Batch
- Thread
- 동시성문제
- 오어스
- 살아남았다.
- 톰캣
- Transactio
- 우테코
- JWT
- resilience4j
- 트랜잭션
- oauth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redis (1)
코딩은 내일부터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1aDS/btsED2FckWW/27PNVutm4Lz592GK3buUfK/img.png)
개발을 하면서 Redis라는 키워드를 많이 들었다. In-memory~, 단일 스레드 등등 빠르고 캐싱할 때 많이 사용하는 저장소로만 알고 있어서 더 자세히 Redis의 대해서 알아보겠다. Redis가 뭔가요? Redis는 Key-value형식의 저장이다. 쉽게 말해 거대한 맵(Map)데이터 저장소라고 생각하면 좋다. 또한 NoSQL의 종류로 고정되지 않은 테이블 스키마를 가질 수 있고, RDBMS에 비해 훨씬 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. 왜 Redis가 빠른가요? Redis는 In-Memory데이터 저장소기 때문에 디스크 기반 DB에 비해 매우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. 위에 사진에서 나와있듯이 HDD는 1~10ms, RAM은 120ns로 RAM이 압도적으로 빠르다는 걸 알 수 있다. In-Me..
카테고리 없음
2024. 2. 8. 19:10